SPI
SPI
리츠
증자
신한알파리츠
방정식

최근 신한알파리츠가 유상증자 투자자 모집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청약률은 107%를 상회했는데요. 10월 중순 이후 급격히 가라앉은 분위기를 감안하면 다행스러운 결과로 해석됩니다(앞선 신주인수권 거래에서도 가격을 일정 수준 유지했죠). 증자 발표 이후 주가가 조정받는 K리츠 증자의 숙명을 피하진 못했지만, 계획했던 자금조달은 큰 변수 없이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신한알파리츠의 증자는 이번이 다섯 번째입니다. K리츠 중 단연 압도적인 횟수인데요. 2018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됐으니 1~2년에 한 차례씩은 꾸준히 증자를 단행해왔습니다. 당연히 그 사이 신규 자산편입도 계속 있었습니다. 신한알파리츠는 대다수 증자에서 지키는 여러 원칙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주가 조정과 주주 부담에 큰 영향을 끼치는 증자비율(신주/구주 비율)을 최대 30%대로 유지해온 점입니다.

*출처:삼성증권, 2024년 11월 다섯 번째 증자(GS서초타워+씨티스퀘어 편입)

2019년 증자는 24.99%, 이듬해 2020년은 9.10%이었는데요. 202238.17%로 상승했지만, 지난해 18.33%으로 다시 내려왔습니다. 올해 증자율은 35.66% 수준입니다. 다섯 차례에 걸쳐 총 5,000억원 남짓한 자금을 마련한 셈입니다. 평균적인 증자비율은 20%대, 조달 자금은 1,000억원 가량입니다. 사실 증자비율은 자본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구조 중 하나입니다. 리츠 역시 아무리 특수하다고 해도 증자를 마냥 반길 수만은 없기 때문에 주주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의 구조는 필수적입니다.

*2021년 제외 매년 자산편입+유상증자 진행

실제로 신한알파리츠는 여러 단계에 걸친 계단식 자산편입과 증자, 궁극엔 주주가치 훼손을 최소화하는 성장 전략을 추구해왔습니다. 물론 2018년 상장 과정에서 첫 단추인 우량 자산(그레이츠판교) 편입 효과가 시발점이 된 부분도 있습니다. 증자 없이도 자산가치가 상승하면서 레버리지(대출)만으로 신규 자산을 편입한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래도 핵심은 덩치에 맞는 단계별 성장이란 점은 변함이 없었습니다.

*신한알파리츠 편입 자산 내역

유상증자 공모엔 여러 변수가 작용합니다. 증자율 외에도 주가 및 배당 흐름, 자금 용처 등까지도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국내외 매크로 이슈는 모든 것을 잠식하는 대형 변수가 되기도 합니다. K리츠 시장의 분위기가 좋은 상황이라면 다소 무리한 구조로도 투자자 모집을 마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모 성패를 떠나 합리적인 증자 방식과 구조를 통한 주주들과의 소통은 후일 주가 흐름과 지속적인 자금조달에서 선순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신한알파리츠가 이를 그대로 증명하고 있습니다.

*신한알파리츠 상장 후 주가 흐름, 출처:SPI

 

김시목

김시목

SPI 시니어 에디터

사람 만나고 글 쓰는 일을 합니다. 상업용 부동산과 리츠, 펀드 등에 더해 주요 플레이어들의 다양하고 생생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방금 읽은 아티클과 연관된 글을 함께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