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 identity1 logo
SPI
도쿄
모리빌딩
야베토시오
디벨로퍼
도시변화
케이스스터디
약 25년 전부터 도쿄 도시 개발의 핵심 개념으로 등장한 타운 매니지먼트는 꾸준히 진화 발전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타운 매니지먼트 성공 사례들을 얻으며, 고도화되는 것입니다. 이에 시티&은 타운 매니지먼트의 대표주자인 모리빌딩의 미디어기획부 야베 토시오 고문과 함께 디벨로퍼들이 도쿄의 도시 변화를 어떻게 만들어 가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일본에서는 2000년경부터 개발자 사이에서 타운 매니지먼트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타운 매니지먼트란 주민과 사업자, 지권자 등이 주체가 되어 마을을 만들어 가는 개발의 한 방법입니다.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마을 만들기를 테마로 하고 있는 것,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조합한 대처인 것, 주민이나 사업주가 주체가 되어 진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필자는 롯폰기 힐스 개발이 시작되었을 때, 타운 매니지먼트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습니다. 현재는 도쿄 중심으로 시작된 타운 매니지먼트 개념이 지방 도시로도 확산하고 있습니다. 매력이 풍부한 환경의 창출, 아름다운 거리의 형성, 역사 문화 자산의 보전, 마을의 브랜드력 형성, 안전·안심 지역 만들기, 양호한 커뮤니티 형성, 지역의 전통·문화의 계승 등 테마는 다양합니다.

도쿄의 디벨로퍼들은 타운 매니지먼트를 통해 거리와 마을을 만들어 간다 ⓒSPI 플랫폼 마케팅팀 

처음에는 중심 시가지 활성화를 위해 상업 사업자 중심으로 TMO(Town Management Organization)를 설립해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는 방법으로 진행됐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충분한 성과를 얻지 못했습니다. 이후 그 경험을 바탕으로 활동 영역을 상가 진흥에서 더 나아가 마을 조성으로 확대하고, 폭넓은 시민의 참가를 장려하며 사업을 전개하는 형태로 변화했습니다.
현재의 타운 매니지먼트는 이같은 움직임과 기존부터 전개되던 NPO 등을 주체로 한 마을 만들기 활동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타운 매니지먼트라는 말을 사용한 지 25년이 지나며 타운 매니지먼트를 활용한 개발의 성공 사례와 까다로웠던 사례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런 사례들을 고찰해 보면서 여러 요인의 영향이 있었지만, 무의식적인 행동 역시 타운 매니지먼트와 연관되어 있다는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개발자의 지정학, 역사, 문화, 영향을 받은 인물 등의 배경지식이 무의식적 행동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모리 빌딩 개발을 경험한 필자가 개발자의 시각에서 모리 빌딩 개발 외에 여러 도시 개발과 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도쿄라는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디벨로퍼의 활동을 알아본다. ©셔터스톡

지금까지 도쿄 또는 일본 전역의 도시들이 개발과 함께 변화한 사례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타운 매니지먼트의 코어인 '도쿄'의 지역별 케이스, 확장된 타운 매니지먼트의 개념을 반영해 일본의 메가 디벨로퍼들이 더블 로컬 라이프를 만들어 가는 케이스, 필자가 생각하는 '일본 5.0 시대의 마을 만들기' 아이디어까지 연재를 통해 담아 보겠습니다. 필자가 전하는 케이스 스터디와 여러 아이디어를 통해 한국의 도시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야베토시오

야베토시오

모리빌딩주식회사 도시개발사업본부 계획기획부 미디어기획부 고문

모리빌딩 회장의 철학과 방향을 이해하고, 타운 매니지먼트의 핵심인 '문화도심' 창조의 역사를 함께해왔다. 독특한 관점을 바탕으로 30년 동안 도심 복합개발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