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
SPI
온에어
금값
골드러시
재테크
금융
투자

금값, 기록적인 상승세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
2024년 2월 13일, 국제 금 가격은 트로이온스당 2,927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였습니다. 작년부터 상승세를 이어온 금은 올해 들어서 10% 상승하며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번 기록적인 금 가격 상승세의 배경은 무엇인지 그리고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금값 상승세의 배경은?


이미 지난해부터 글로벌 투자은행은 금 가격 상승을 전망했는데요. 골드만삭스는 작년 말 보고서에서 2025년 말 금 가격이 3,000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UBS와 씨티그룹도 각각 2,850달러와 2,800달러를 목표가로 제시하였으나 3,000달러로 상향 조정하면서 강세를 예상했습니다. 이처럼 주요 기관이 상승을 예측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금리가 오르는데 금값도 오른다?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
골드만삭스 리서치 애널리스트 리나 토마스는 2022년부터 미국 금리가 상승하는 와중에도 금값이 40% 이상 상승한 현상에 주목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실질금리가 오르면 금값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은 이자를 주지 않기 때문에 실질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는 매력적인 자산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022년부터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여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 중앙은행의 자산을 동결한 것입니다. 토마스는 이를 “전 세계 중앙은행에게 경종을 울린 사건”이라고 표현하며 “달러에서 벗어나서 그 누구도 마음대로 동결할 수 없는 자산인 금으로 준비자산을 분산하기 시작했다”고 하였습니다. 즉, 탈달러화(dedollarization) 흐름이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금 수요를 촉발했다고 본 것입니다.

전세계 중앙은행들의 골드러시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
실제로 전 세계 중앙은행은 2022년부터 연간 1천 톤씩 금을 순매입하고 있습니다. 씨티그룹은 이와 같은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았는데요. 연간 1천 톤 이상의 수요가 2025년과 2026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리서치 애널리스트 케니 후는 “금 강세장이 트럼프 2.0하에서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하였습니다. 무역 갈등과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그에 따라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 금에 대한 수요가 계속될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금 ETF로 몰리는 개인투자자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 
중앙은행 수요뿐만 아니라 개인들의 금 ETF 투자 수요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씨티그룹은 작년 8월, 2025년 금값 상승의 핵심 요인으로 금 ETF 수요를 지목한 바 있습니다. 씨티는 2020년 11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이어진 금 ETF 순유출세를 주목하며, 이 같은 흐름이 반전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았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과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그리고 높은 시장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개인투자자들의 금 ETF 투자 수요가 2025년 중 금값을 3,000달러까지 밀어 올릴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정리하면, 탈달러화 그리고 준비자산 다각화 흐름 속에서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며 더 많은 수요를 촉발하였고, 개인투자자들의 금 ETF 매수세까지 더해지며 금 가격이 상승한 것입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이러한 흐름이 앞으로도 지속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금값, 우리나라는 더 비싸다?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 
국내 금값도 연일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대표적인 국내 금 현물시장인 KRX 금시장에서 금값은 16만 원을 넘기기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는 국제 시세보다 20% 이상 높은 가격입니다. 국내 시세와 국제 시세가 큰 폭으로 벌어진 원인은 국내 금 현물 시장의 수급 불균형 때문입니다. 금 수요는 많은데 금 공급이 이를 받쳐주지 못해서 웃돈을 주고 사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금 공급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  
최근 비상계엄 이후 국정 혼란과 트럼프 정부 출범 등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지고 금 수요가 치솟았습니다. 시중은행 골드바 판매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정도로 강한 매수세가 나타났는데요. 결국 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한 한국조폐공사는 자사몰에서 골드바 판매 중단을 알렸고 시중 은행에도 공급 중단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 수급이 어려웠던 탓입니다. 우리나라의 금 공급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최근 전 세계적인 금 수요 급증으로 인해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이 줄어든 것입니다. 

런던에서 뉴욕으로 빨려 들어가는 금괴


현재 많은 금괴가 빠르게 미국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금값이 상승하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가 유럽에 대한 관세부과를 거론하고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뉴욕시장의 금 가격이 유난히 치솟았습니다. 금을 미국으로 들여오는 비용이 앞으로 상승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글로벌 금 거래의 중심은 현물 중심의 런던 금 시장(London Bullion Market)과 선물 중심의 뉴욕 COMEX(Commodity Exchange) 시장인데요. 뉴욕 금값이 런던 금값보다 이례적으로 비싸지면서 투자은행 JP모건과 HSBC는 런던에서 뉴욕으로 금을 실어 나르는 중입니다. 여객기 화물칸까지 동원하여 금괴를 운반하고 있습니다.
이들 투자은행은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런던에 대규모 금괴 현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뉴욕에서 금 선물을 매도한 상황에서 금 가격이 급등해서 손실 위험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비싸게 계약을 청산하는 대신에, 런던에서 뉴욕으로 금을 물리적으로 이동시켜서 계약을 이행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습니다. 손실을 피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차익거래 기회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공급 부족이 초래한 시장 왜곡


이처럼 세계적으로 금 수요가 증가하면서 금을 구하기 어려워진 탓에 시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고 국내 금값 프리미엄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일반적으로 동일 자산이 다른 시장에서 다른 가격에 거래될 경우, 차익거래를 통해 가격이 균형을 찾아야 합니다. 즉, 가격이 낮은 시장에서 매수하고 높은 시장에서 매도함으로써 시장 불균형이 해소되는 것이 정상적 흐름입니다.
그런데 국내 증권사 등 기관이 차익거래 기회를 추구하기 쉽지 않았습니다. 금을 확보하거나 빌리기 어려워진 탓에 숏포지션을 취하기 어려웠던 것입니다. 결국 가격에 하락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요소가 없어지면서 과도한 수요가 그대로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고 국내 시세와 국제 시세가 크게 벌어졌습니다.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  
다만 이와 같은 현상은 매우 이례적입니다. 최근 나타난 20% 수준의 괴리율은 2014년 KRX 금시장 개설 이래 처음 나타난 현상입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프리미엄은 지속 가능하지 않은 일시적 현상으로 보고 있는데요. 결국 국내 금값이 국제 시세로 수렴하며 괴리율이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https://www.wsj.com/finance/commodities-futures/gold-steady-on-safe-haven-demand-bc47c53f?mod=Searchresults_pos9&page=1
https://fortune.com/2025/02/14/trump-tariffs-jpmorgan-flying-gold-london-new-york-arbitrage/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goldman-sachs-raises-year-end-gold-price-forecast-3100-2025-02-17/
https://finance.yahoo.com/news/key-driver-higher-gold-prices-134918403.html
https://www.goldmansachs.com/insights/articles/gold-predicted-to-climb-higher-than-expected-as-records-shatter
https://www.goldmansachs.com/insights/videos/why-the-great-gold-rally-could-continue
https://fortune.com/2025/02/14/trump-tariffs-jpmorgan-flying-gold-london-new-york-arbitrage/
https://www.wsj.com/finance/commodities-futures/why-dealers-are-flying-gold-bars-by-plane-from-london-to-new-york-86824199
https://www.gold.org/goldhub/data/2024-central-bank-gold-reserves-survey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278581
https://www.mk.co.kr/news/economy/11240757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214001526
https://www.chosun.com/economy/stock-finance/2025/02/11/7T226R7KPFFBLKB2BD7YO6DTUI/
https://economictimes.indiatimes.com/markets/stocks/news/explained-why-banks-are-flying-gold-worth-billions-from-london-to-new-york-amid-trump-tariff-fears/articleshow/118357864.cms?from=mdr#google_vignette
https://www.ytn.co.kr/_ln/0102_202502171725052540
https://www.gold.org/goldhub/data/gold-etfs-holdings-and-flows
https://www.gold.org/goldhub/data/gold-demand-by-country
박순재

박순재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 데이터 애널리스트

우리가 사는 도시를 더 좋게 만들기 위한 부동산 금융의 역할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SPI)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도시계획과 경영학을 전공하였으며 CFA Charterholder 입니다.
방금 읽은 아티클과 연관된 글을 함께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