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개인은 집을 살 때 은행 대출을 통해 자금을 마련합니다. 이 과정에서 항상 만나는 지표들이 있습니다. 바로 대출 허용 및 한도의 기준이 되는 DTI(총부채상환비율)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등입니다.
DTI는 개인이 벌어들이는 연간 소득 대비 상환해야 하는 (연간) 주택대출 원리금과 기타대출 이자의 비중을 의미합니다. DSR은 DTI를 더욱 강화해 기타대출에 대한 원금상환까지도 모두 포함해 계산한 비율입니다. 두 가지 모두 개인의 연간 소득 대비 원리금 지출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개인들의 대출금 상환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인 셈입니다.
🔍 더 알아보기
DTI = 연간 주택대출 원리금+기타대출 이자 / 연간 소득 * 100
DSR = 연간 주택대출 원리금+기타대출 원리금(원금+이자) / 연간 소득 * 100
리츠나 기업도 이와 유사한 평가 기준들이 있습니다. 바로 D/EBITDA, 이자보상배수 등입니다. 리츠나 기업이 한 해 벌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