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츠 초보투자자 김 씨는 지난해 국내 리츠인 A 종목에 1,000만 원을 투자했습니다. 연말 반기 배당수익률이 3.5%로 발표되면서 지난달 35만 원을 수령할 것으로 기대했는데요. 정작 주식계좌로 입금된 금액은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30만 원 남짓이었습니다. 여러 곳에 문의를 해본 결과 배당소득세 15.4%를 차감한 금액이란 것을 알았습니다.
사실 15.4%의 세금은 바로 내지 않거나 최대한 줄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즉 15.4% 차감이 무조건 ‘디폴트 값’은 아닌 셈입니다. 이미 많은 이들이 이러한 방법들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리츠 분리과세계좌를 비롯해 누구나 한 번 이상은 들어봤을 법한 ISA, IRP, 연금저축계좌 등을 백분 활용한다면 수익률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부담스러운 배당소득세, 분리과세와 ISA 활용법
리츠 투자를 통해 받는 배당금에 대해서 15.4%(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의 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만약 리츠를 비롯해 다른 투자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