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
SPI
리츠
상장리츠
리츠투자
배당소득세
리츠 초보투자자 김 씨는 지난해 국내 리츠인 A 종목에 1,000만 원을 투자했습니다. 연말 반기 배당수익률이 3.5%로 발표되면서 지난달 35만 원을 수령할 것으로 기대했는데요. 정작 주식계좌로 입금된 금액은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30만 원 남짓이었습니다. 여러 곳에 문의를 해본 결과 배당소득세 15.4%를 차감한 금액이란 것을 알았습니다.
사실 15.4%의 세금은 바로 내지 않거나 최대한 줄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즉 15.4% 차감이 무조건 ‘디폴트 값’은 아닌 셈입니다. 이미 많은 이들이 이러한 방법들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리츠 분리과세계좌를 비롯해 누구나 한 번 이상은 들어봤을 법한 ISA, IRP, 연금저축계좌 등을 백분 활용한다면 수익률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부담스러운 배당소득세, 분리과세와 ISA 활용법


리츠 투자를 통해 받는 배당금에 대해서 15.4%(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의 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만약 리츠를 비롯해 다른 투자에서
[...]
회원가입만 하면,도시, 자본, 투자에 대한 깊이있는 콘텐츠와 데이터를 만날 수 있어요.

개인 회원 로그인/회원가입

아직 SPI 회원이 아니신가요?

신규 개인 회원가입하고 아티클 체험하기

리워드 아이콘

SPI 멤버십 보러 가기

김시목

김시목

SPI 시니어 에디터

국내외 상장 리츠와 자산관리회사(AMC), 투자자들 그리고 시장 전반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취재하고 공유합니다.
방금 읽은 아티클과 연관된 글을 함께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