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
SPI

문화 공간은 지역을 바꿀 수 있을까?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의 실험

2025.06.26 07:30:02

트렌드
아트플레이스
서울
미술관
창동
타운매니지먼트

영화과에 입학해 가장 먼저 배웠던 것은 필름이었습니다. 필름 카메라로 촬영 하고 어떤 이유로 해당 사진을 찍었는지 설명하는 수업이 이어졌습니다. 프레임 안에 빛을 담고, 찰나의 순간을 기록하며, 보는 이들의 시선을 유도합니다. 이에 더해 사진은 사건의 시간 흐름을 멈춰 세운 예술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어떤 구도인지, 어떤 장면인지 오래 바라보게 됩니다. ‘이해하기 어렵다라는 오해도 따라다니고, 예술의 한 장르로 자리 잡기까지 시간이 꽤 오래 걸리기도 했습니다. 사진에 특화된 공립 미술관이 이제야 서울에 처음 생겼다는 소식이 유독 반가운 이유이기도 합니다.

서울시 도봉구 창동에 개관한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윤준환.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제공

사진술 도입 140, 첫 사진 전문 공공 미술관의 탄생


사진 전시는 여러 공간에서 진행되곤 합니다. 그런데 사진이라는 예술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은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한국에 사

[...]
업계 흐름을 선도하는 종사자들은 벌써 SPI를 구독하고 있어요!SPI의 관점을 담은 콘텐츠와 독점 데이터로 앞서 나가세요.
개인 회원 로그인/회원가입
Google
구글
카카오
카카오

SPI 법인 멤버/관리자 전용 로그인

SPI logo black법인회원 로그인

아직 SPI 회원이 아니신가요?

신규 개인 회원가입하고 아티클 체험하기

리워드 아이콘

SPI 멤버십 보러 가기

박지수

박지수

에디터

영화를 공부하고 다양한 IT 회사에서 에디터로 일을 했습니다. 일상에서 영감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찾아 다니며 글을 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