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
SPI

인구를 읽는 공간, 관계를 설계하는 공간의 해답

2025.08.05 07:30:02

상업시설
공간기획
사업기획
부동산
상업공간
타운매니지먼트

오늘날 상업공간 개발은 단순한 입지 선정과 수익률 분석을 넘어, 지역 고유의 인구구성과 소비행태에 기반한 공간 기획 전략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포괄적인 배후수요를 통해 상업입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수요를 세분화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상권의 구조와 성격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거주인구 혹은 정주인구)뿐 아니라 생활인구에 포함할 수 있는 관광인구, 직장인구 등 다양한 유형의 인구 흐름을 알아야 하는 것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상업시설 기획은 단순히 해당 지역의 유동인구수에 기반한 일률적인 기준으로 판단되는 경향이 강하게 남아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공간의 소비자 특성과 콘텐츠 수용방식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동일한 브랜드 구성 및 전략을 지역 간에 기계적으로 이식하게 되어 지역의 특성과 맥락을 배제한 공간의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조금 더 설명해 보겠습니다. 오피스 밀집 지역인 테헤란로 일

[...]
업계 흐름을 선도하는 종사자들은 벌써 SPI를 구독하고 있어요!SPI의 관점을 담은 콘텐츠와 독점 데이터로 앞서 나가세요.
개인 회원 로그인/회원가입
Google
구글
카카오
카카오

SPI 법인 멤버/관리자 전용 로그인

SPI logo black법인회원 로그인

아직 SPI 회원이 아니신가요?

신규 개인 회원가입하고 아티클 체험하기

리워드 아이콘

SPI 멤버십 보러 가기

조훈희

조훈희

부동산 개발/컨설팅사 대표. 부동산학 박사

부동산과 콘텐츠를 결합한 다양한 개발을 합니다. 현) (주)투에이치파트너스 대표. 한양대학교 부동산융합대학원 겸임교수. 전) 현대캐피탈, 코람코자산운용, CBRE Korea 근무. 저서로는 <아빠, 부동산이 뭐예요?>, <부동산 투자, 농사짓듯 하라>, <밥벌이의 이로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