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
SPI

리츠 투자에 자산과 부채 지표를 어떻게 활용하면 될까?

2025.07.04 07:30:01

리츠
재테크
부채

리츠 투자 기본기 시즌2의 마지막 주제로 자산과 부채 관련된 지표를 짚어보겠습니다. 자산과 부채와 관련된 지표는 주식의 가격을 평가하는 방법 중 PBR과 비슷한 이치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기업이 보유한 자산 A(\)*과 현재 기업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 B(\)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 : 특정 가격에 거래되는 것을 뜻합니다.

리츠는 어떻게 가치를 판단할 수 있을까?



일반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은 보유한 재화가 얼마나 많이 팔리는지, 확장성이 있는지 등에 초점을 둘 것입니다. 가령 네이버라면 얼마나 많은 고객들이 네이버플러스를 정기 구독하는지, 네이버 배너 광고를 클릭하는지 등이 중요하겠죠. ‘삼성전자의 경우에는 갤럭시 시리즈의 판매량, 반도체 기술력의 혁신 정도 등이 관심사일 겁니다. 플랫폼 기업이라면 무형의 자산에서 나오는 수입, 제조업 기업이면 재화의 인기나 제품의 수명주기(사이클) 등이 주가 변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반면 리츠는 이 같은 일반

[...]
회원가입만 하면,도시, 자본, 투자에 대한 깊이있는 콘텐츠와 데이터를 만날 수 있어요.
개인 회원 로그인/회원가입
Google
구글
카카오
카카오

SPI 법인 멤버/관리자 전용 로그인

SPI logo black법인회원 로그인

아직 SPI 회원이 아니신가요?

신규 개인 회원가입하고 아티클 체험하기

리워드 아이콘

SPI 멤버십 보러 가기

김고양

김고양

개인투자자

필명을 사용해 글을 써오고 있습니다. 리츠 투자를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시각에서 부동산을 관찰하고 탐구합니다. "야, 너두 건물주 될 수 있어"라는 모토로, 어려운 부동산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e(I)NTP #지적호기심 #성장